고려대학교 일어일문학과

QUICK MENU
  • Home
  • 로그인
  • Sitemap
  • ENG

구성 및 연혁

일어일문학과 구성

본 학과는 1983년 본교 문과대학에 정원 65명으로 신설되어, 87년 2월에 제1회 졸업생 34명을 배출한 후 2021년 3월 현재까지 총 2300여명의 졸업생이 배출되어 사회 각 분야에서 눈부신 활약을 하고 있다. 매년 정원 40명과 약간 명의 정원 외(외국인 포함) 학생들을 선발하고 있다.

 

일어일문학과 고려대학교 문과대학에 속하며 학부, 일반대학원, 교육대학원, 학생회와 교수진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소개는 다음과 같다.

 

일어일문학과 학부

고려대학교 문과대학에 속하며, 일어일문학과 학생으로 4년간의 교육과정을 거친다. 일어일문학과에서는 일본어, 일본어학, 일본문학, 일본학에 대한 이론과 학설을 학습하며, 연구 방법의 습득을 진행하여 각 사회분야에서 일어일문학을 활용하며, 더 나아가 연구자의 기반을 다지는 교육중심의 기관이다.

 

일반대학원 중일어문학과 (일문전공, 중일지역·비교문화전공)

석사과정과 박사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과정 전공이 일본어학·교육전공, 일본문학·문화전공, 중일지역·비교문화전공의 세 가지 연구영역으로 세분화되어 각 전공분야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며 연구업적을 세우고, 연구자를 양성하는 기관이다.

 

교육대학원 일어교육전공

석사과정이 개설되어 있으며, 일본어교육 이론을 습득하고 중등과정에서의 일본어 지도자를 배출하는 실용위주의 기관이다.

 

학생회

학부학생회, 일반대학원학생회, 교육대학원학생회로 나누어진다. 이들 학생회는 학생 각자가 소속되어 있는 기관에서 각 소속기관의 교육과 연구 및 구성원 간의 친목을 목적으로 하며, 그것을 효과적으로 실현해 가기 위해 이루어진 학생 자치단체이다.

 

교수진

정병호 교수, 채성식 교수, 서승원 교수, 김수미 교수, 유재진 교수, 조영남 교수, 김정민 교수, 고마쓰 나나 교수의 8명의 전임교원과 이 밖에 약 40여명의 연구교수 및 교양강사들이 활동 중이다.

 

 

연혁

일어일문학과 연혁
1983
  •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일어일문학과 신설
  • 이현기 교수 임용, 김태진 객원교수 임용
1985
  • 김춘미 교수, 김채수 교수 임용
  • 오고시 나오키 객원교수 임용(현 동경대학 교수)
1987
  • 제1회 졸업생 배출
1988
  • 이한섭 교수 임용
1989
  • 대학원 석사과정 신설(일본어학전공, 일본문학전공)
1992
  • 교육대학원 일본어교육전공 신설
  • 일반대학원 제1회 졸업생 배출
1993
  • 노현송 교수 임용(현 국회의원)
1994
  • 김충영 교수 임용
1997
  • 최관 교수, 구마키 쓰토무 객원교수(현 후쿠오카여학원대학 교수)임용
  • 일반대학원 전공부문 조정
1998
  •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신설
1999
  • 학부제 시행(한국동양어문학부소속)
2000
  • 고려대학교 부설 일본학연구소 설립 → 일본학연구센터로 개명
2001
  • 전형식 교수 임용(2009. 3 퇴임)
2003
  • 나가타니 나오코 객원교수 임용
  • 본 학과 소속 학부명이 국제어문학부로 변경
2004
  • 온즈카 치요 객원교수, 오노 준이치 객원교수 임용
2005
  • 정병호 교수 임용
  • 미즈노 다쓰로 일본인 교수, 오사와 리에 일본인 교수 임용
  • 다니 세이지 객원 교수 임용 (2008. 3 퇴임)
2006
  • BK21사업 참여
  • 채성식 교수 임용
2007
  • 일반대학원 중어중문학과, 일어일문학과가 중일어문학과로 통합
  • 일본연구센터 청산·MK문화관 완공
  • 서승원 교수 임용
  • 일본연구센터가 인문한국(HK) 지원사업 해외지역 연구분야로 선정됨
  • 대학원 제2단계 BK21사업 선정(중일언어·문화교육연구단)
2008
  • 김춘미 교수 정년 퇴임
  • 마쓰모토 켄 객원교수 임용, 하라 미즈호 객원교수 임용(2009. 3 퇴임)
  • 가나즈 히데미 일본인 교수 임용
2009
  • 김수미 교수, 유재진 교수, 조영남 교수 임용
2010
  • 중앙일보 대학평가 인문사회계열 단독 최상위 학과 선정(전국 1위)
2011
  • 시마즈 모모요 일본인 교수 임용, 요시다 마사아키 객원교수 임용(2013.2 퇴임)
  • 중앙일보 대학평가 2년 연속 인문사회계열 단독 최상위 학과 선정(전국 1위)
  • 중앙일보 대학평가에서 전국 대학 일어일문학과 최상위 학과로 선정
2012
  • 중앙일보 대학평가 3년 연속 인문사회계열 단독 최상위 학과 선정(전국 1위)
  • 대학원 제2단계 BK21사업 성과보고 외국어부분 패널에서 '최우수 사업단'으로 선정
2013
  • 일본어문학 분야에서 유일하게 대학원 BK21 PLUS 사업단으로 선정(7년간)
  • 일어일문학과 30주년 기념행사 거행
  • 대학원 제3단계 BK21플러스사업 선정('2030 글로벌 동아시아학을 선도하는 중일언어⋅문화 교육⋅연구 사업단')
2014
  • 3월 학과제 전환으로 1학년 신입생 일어일문학과로 입학
  • 이한섭, 김채수 교수 정년퇴임
2015
  • 스기모토 쇼고 일본인 교수 임용
2017
  • 고마쓰 나나 일본인 교수 임용
2019
  • 전국 대학생일본어연극대회에서 대상 수상
  • 대학원 제3단계 BK21플러스사업 성과보고 외국어부분 패널에서 '최우수 사업단'으로 선정
2020
  • 대학원 제4단계 BK21Four사업 선정('트랜스-동아시아(Trans-East Asia)시대를 선도하는 미래 인재 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