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일어일문학과

QUICK MENU
  • Home
  • 로그인
  • Sitemap
  • ENG

전공 소개

학과교육목적

중일어문학과는 일본어학·교육, 일본문학·문화, 중국어학, 중국문학, 중일지역·비교문화의 전공 교육을 통하여 학제적이고 종합적인 관점에서 중국과 일본의 언어와 문학 및 비교문화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또한 본교 대학원의 기능별 특성화 과제인 국제화에도 적극 부응하여 국제적 감각을 두루 지닌 글로벌 인재를 양성하고, 기존의 연구 성과를 통합적 교과과정에 접목시켜 더욱 폭넓은 시야에서 동아시아의 언어와 문화를 교육하고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과전공분야

  • 중국어학 전공(Chinese Linguistics)
  • 중국문학 전공(Chinese Literature)
  • 일본어학·교육 전공(Japanese Linguistics and Pedagogy)
  • 일본문학·문화 전공(Japanese Literature and Culture)
  • 중일지역·비교문화 전공(Comparative Studies of Chinese and Japanese Culture)

 

 

학과내규

  1. 전공과목의 취득학점은 다음과 같이 정한다. 석사과정생은 24학점 중 15학점 이상, 박사과정생은 30학점 중 21학점 이상을 본 학과에서 개설된 전공과목 중에서 이수하여야 하며, 석ㆍ박사과정생 공히 본 학과에서 개설된 기초공통 6학점과, 일반공통 3학점 이상을 이수하여야 한다. 타 학과에서 개설한 과목이라도 지도교수의 승인을 얻어 전공과목 또는 기초공통과목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2020학년도 이전 입학생이 2021년 이후에 수강한 기초공통 과목은 자신의 전공과목으로 인정한다.
  2. 신입생은 지도교수가 재량에 따라 지정하는 전공과 유관한 학부전공과목을 과정 내에 이수하여야 한다.
  3. 석사과정생은 연구자 트랙과 전문가 트랙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이수할 수 있다. 연구자 트랙이 아닌 전문가 트랙을 선택하고자 하는 석사과정생은 입학 후 3학기 이내에(2학기 이후에) 지도교수와 상담하고 학과 운영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확정된 뒤 부합하는 과목을 지도교수와 논의하여 이수한다. 전문가 트랙을 이수하는 학생은 석사학위논문 대체 제도에 따라 대체 실적물을 제출하여 학위를 취득할 수 있다. (전문가 트랙과 관련된 이하 사항은 예정임.)
  4. 전문가 트랙 이수 석사과정생의 추가 수료요건 9학점은 다음과 같이 정한다. 취득학점 가운데 6학점은 별표로 제시하는 '문제탐구'/'창의과제' 과목 가운데 이수해야 하며, 나머지 3학점은 지도교수가 지정하는 과목을 이수해야 한다.

    전문가 트랙 추가 수료 지정 영역
    전문가 트랙 추가 수료 지정 영역 학수번호 과목명
    학수번호 과목명
    CJL2800 동아시아지역연구문제탐구
    CJL2801 동아시아문화창의과제
    CJL2803 중국어문화창의과제
    CJL2807 일본어학‧교육창의과제
    CJL2809 중국고전문화창의과제
    CJL2811 중국현대문화창의과제
    CJL2814 일본문학‧문화창의과제
    CJL2815 트랜스동아시아콘텐츠산업창의과제
  5. '대체 실적물 심사위원회'는 지도교수를 포함하여 3인 이상으로 구성하며 필요한 때에 지도교수의 추천으로 1명 이내의 박사학위를 소지한 외부교수 또는 전문가를 위촉할 수 있다. '대체 실적물 심사위원회'의 합격판정은 심사위원 3분의2 이상의 찬성으로 이루어진다. '대체 실적물'의 종류는 다음과 같이 정하며, '대체 실적물'의 최소 분량은 원고지 환산 250매 내외로 하고 '대체 실적물 심사위원회'에서 대체 실적물의 종류에 따라 가감의 범위를 정한다.
    1. ① 창작․번역물: 학술적․문학적 가치가 있는 창작․번역물
    2. ② 교재: 중국어 또는 일본어 학습을 위해 개발된 교재
    3. ③ 연구․조사 보고서: 현장․실지 조사가 필요한 분야에 대한 보고서
    4. ④ 캡스톤 디자인 보고서: 캡스톤 디자인 프로그램 결과 보고서
    5. ⑤ 제안서: 정부 정책 또는 기업 활동 수요를 충족하는 제안서

 

 

이수학점

  • 석사과정: 24학점 이상(학과 전공과목 최소 15학점 이상)
  • 박사과정생: 30학점 이상(학과 전공과목 최소 21학점 이상)
  • 석ㆍ박사과정생 공통: 기초공통 6학점, 일반공통 3학점 이상
  • 타 학과에서 개설한 과목이라도 지도교수의 승인을 얻어 전공과목 또는 기초공통과목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종합시험

각 전공별 선택과목을 다음과 같이 지정하여 시행한다.(2024년도 2학기부터 필수과목 폐지됨.)

전공 선택과목
  1. 석사과정: 홈페이지에 제시된 종합시험 전공영역 중에서 1과목 선택
  2. 박사과정: 홈페이지에 제시된 종합시험 전공영역 중에서 2과목 선택

 

 

예비논문

1. 연구자트랙: 학위논문 제출자는 소정의 기일(매년 2월말과 8월말) 이내에 예비심사 논문을 학과에 제출하여야 한다. 예비심사를 통과해야만 본 심사에 논문을 제출할 수 있다.

 

2. 전문가트랙: 전문가 트랙 석사학위 청구자는 소정의 기일(매년 2월말과 8월말) 이내에 실습계획서(석사과정 동안의 수행 내용을 토대로 실습 계획을 설계한 보고서)를 학과에 제출하여야 한다. 예비심사를 통과해야만 본 심사에 연구보고서를 제출할 수 있다.
전문가 트랙 석사학위 청구자는 소정의 기일(매년 2월말과 8월말) 이내에 '대체 예비심사 실적물'을 학과에 제출하여야 한다. 학과 주임은 '대체 예비심사 실적물'을 접수한 후 지도교수의 추천을 받아 심사위원을 구성하고 위촉한다. 이때 심사위원 가운데 1인은 반드시 '문제탐구' 또는 '창의과제' 과목을 개설한 학과교수이어야 한다.

 

3. 박사과정 예비논문 제출자는 심사신청 이전에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 이상의 학술지에 발표된 전공 관련 소논문 3편 이상을 제출하여야 한다.

 

신규내규 : 2023년도 후기 박사과정 입학생 부터 적용

박사과정 예비논문 제출자는 심사 신청 이전에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 이상의 학술 지와 그에 준하는 외국 학술지에 전공 분야 학술논문 3편(아래 환산점수 300%) 이상을 게재하고 지도교수 승인을 받아야 한다.

게재 학술 논문은 박사 과정 입학 이후의 논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박사과정 입학 전 논문이라도 박사과정 입학 전 5년 이내에 게재된 박사과정 전공 동일 분야로 1편(100%) 이내에서 포함 할 수 있다. 제출한 논문의 전공 일치 여부는 지도교수가 판단한다.

전체 게재 논문 중 단독 논문이 2편(200%) 이상 되어야 한다.

 

논문 편수 환산율
  • 단독연구: 100%
  • 공동연구의 주저자(교신저자 또는 제1저자): 100%
  • 2인 공동연구: 70%
  • 3인 공동연구: 50%
  • 4인 이상 공동연구: 30%

 

4. 학과 주임은 예비심사 논문을 접수한 후 지도교수의 추천을 받아 심사위원을 구성하고 위촉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