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일어일문학과

QUICK MENU
  • Home
  • 로그인
  • Sitemap
  • ENG

교과목해설

기초공통과목

학수번호 과목명 교수요목
CJL1009 연구윤리및논문작성법 연구자로서의 기본 윤리 및 논문 작성법을 습득하여, 학위 논문 및 학술 논문 작성의 기틀을 마련한다.
CJL1343 중상급전공일본어 전공분야에서 사용되는 일본어 어휘와 문법은 일어일문학 연구의 기초이며, 중상급일본어 습득을 통해, 보다 전문적인 연구를 수행한다.
CJL1345 초중급전공일본어 전공분야에서 사용되는 일본어 어휘와 문법은 일어일문학 연구의 기초이며, 초중급일본어 습득을 통해, 연구의 기틀을 마련한다.
CJL2000 동아시아언어문화 다방면에 걸친 동아시아 언어 현상의 체계적인 분석과 고찰을 통해 각국 언어의 과거와 현재의 현황을 파악하고 미래를 전망한다.
CJL2001 동아시아일본어문학 식민지시기 한반도를 비롯한 동아시아 지역에서 창작된 일본어문학의 역사적 배경과 특징을 파악한다.
CJL2002 동아시아문학지리학 동아시아 문학을 지리 환경, 문학가의 지리적 분포, 문학작품의 지리 공간, 문학 경관, 문학 지역 등 문학지리학의 관점에서 접근한다.
CJL2003 AI시대의동아시아문학연구방법론 AI 시대를 맞이하여 동아시아 문학에 대한 정량적 연구 방법론을 모색하고 그 결과를 작가와 작품 분석에 적용한다.
CJL2004 동아시아현대문학의지적배경 동아시아 현대문학의 형성과 발전에 기여한 문헌 연구를 통해 동아시아 현대문학의 지적 근원에 대한 이해를 심화한다.
CJL2005 동아시아문화와뉴미디어 동아시아 문화 현상에 대한 통시적 고찰과 비교를 바탕으로 21세기 뉴미디어에 의한 문화양상을 학습하고 분석해본다.
CJL2006 문헌정보와자료조사 연구에 활용되는 문헌자료, 정보 데이터를 다루는 기초적인 방법을 배양한다.
CJL2007 트랜스동아시아문화론 동아시아에 관한 문화론에 대해 개관하고 문화에 체계적인 연구의 기틀을 마련한다.
CJL2008 중일어문학·지역학과혁신주체의리더십 트랜스-동아시아 시대의 중일어문학 및 지역학 연구를 통한 사회문제 해결 방안과 공동체적 삶의 가치 구현에 대해 학습하고 탐구한다. 
CJL2009 학술중국어기초 전공분야에서 사용되는 중국어 어휘와 문법은 일어일문학 연구의 기초이며, 학술 일본어 습득을 통해, 전문적인 전공 연구 수행의 기틀을 마련한다.
CJL2010 학술일본어기초 전공분야에서 사용되는 일본어 어휘와 문법은 일어일문학 연구의 기초이며, 학술 일본어 습득을 통해, 전문적인 전공 연구 수행의 기틀을 마련한다.
CJL2011 동아시아언어학기초자료탐색 동아시아 언어연구에 활용될 기초적인 문헌 자료를 이해하고 운용할 능력을 배양하며 이를 바탕으로 동아시아 언어 현상을 분석할 기초 능력을 배양한다
CJL2012 동아시아언어학쟁점문제연구1 동아시아 언어의 주요 언어 현상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관련 언어 이론에 대한 기초 지식을 배양하고 향후 심화 연구 진행을 위한 기초를 다진다.
CJL2013 동아시아언어학쟁점문제연구2 동아시아 언어의 주요 언어 현상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관련 언어 이론에 대한 기초 지식을 배양하고 향후 심화 연구 진행을 위한 기초를 다진다.
CJL2016 트랜스인지언어유형론1 인지언어유형론의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다양한 언어들을 대상으로 인지언어학적인 관점에 분석하는 방법을 파악한다.
CJL2017 트랜스일본어교육연구1 일본어 교육의 기본적인 문제에 대하여 조사 연구한다. 
CJL2018 트랜스일본어문법론1 전통적인 일본 문법 연구와 트랜스 동아시아적 관점에 입각하여 일본어 문법에 대해 고찰하고, 제반의 특징에 대하여 숙지한다. 
CJL723 일본어문법론Ⅰ 전통적인 일본 문법 연구와 새로운 이론에 입각한 연구 방법의 차이에 대하여 고찰하고, 제반의 특징 에 대하여 숙지한다.

 

 

 

 

전공과목

학수번호 과목명 교수요목
CJL2324 트랜스동아시아비교대조언어연구1 일본어와 언어유형론적으로 동질성이 인정되지 않는 제언어를 비교, 대조분석함으로써 일본어의 언어학적 위상을 확인하고, 언어의 보편성과 다양성을 파악한다.
CJL2325 트랜스동아시아비교대조언어연구2 일본어와 언어유형론적으로 동질성이 인정되지 않는 제언어를 비교,대조 분석함으로써 일본어의 언어학적 위상을 확인하고, 언어의 보편성과 다양성을 고찰한다.
CJL2327 트랜스미디어언어연구방법론 한국과 일본의 리메이크 드라마, 영화 등 미디어를 활용한 비교 분석을 통해 양국의 언어, 문화적 유사성과 차이점을 고찰한다.
CJL2815 트랜스아시아한일이문화커뮤니케이션 외국인 관점에서 일본인의 언어사용 의식과 사용법을 고찰한다. 
CJL2326 트랜스인지언어유형론2 인지언어유형론의 개념과 이론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 다양한 언어들을 대상으로 인지언어학적인 관점에 분석하는 방법을 고찰한다.
CJL2629 일본근현대문학연구방법론2 일본현대문학의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특정 주제에 대한 연구방법론을 익힌다.
CJL2646 트랜스일본고전문학특수연구 트랜스 동아시아 시대에 일본 고전문학에 관한 연구 과제를 설정하여 고찰하고, 동시에 그 주된 과제와 전망을 검토한다
CJL2330 트랜스일본어교육연구2 일본어 교육의 제 문제에 대하여 연구를 심화시킨다.
CJL2328 트랜스일본어담화분석론1 담화분석 이론을 기반으로 일본인의 언어생활을 담화레벨에서 대화방법, 문장의 구조를 파악한다.
CJL2329 트랜스일본어담화분석론2 담화분석 이론을 기반으로 일본인의 언어생활을 담화레벨에서 대화방법, 문장의 구조를 고찰한다.
CJL2331 트랜스일본어문법론2 전통적인 일본 문법 연구와 트랜스 동아시아적 관점에 입각하여 일본어 문법에 대해 고찰하고, 제반의 특징에 대하여 숙지한다. 
CJL2332 트랜스일본어학특수연구1 일본어학에 관한 특수 과제를 주제로 하여 트랜스 동아시아적 관점에서 문제점을 발견하고 그 해결책을 모색한다. 
CJL2333 트랜스일본어학특수연구2 일본어학에 관한 특수 과제를 주제로 하여 트랜스 동아시아적 관점에서 문제점을 발견하고 그 해결책을 모색한다. 

 

 

 

일본어학·교육전공

일본어학·교육전공 학수번호 과목명 교수요목
학수번호 과목명 교수요목
CJL1307 일본어어휘론Ⅰ 일본어 어휘의 기본적인 문제에 대하여 이해를 넓히고 어휘조사의 방법을 익힌다.
CJL1308 일본어어휘론Ⅱ 일본어 어휘의 기본적인 문제에 대하여 이해를 넓히고 어휘조사의 방법을 익힌다.
CJL1323 일본어문법특수연구Ⅰ 일본어 문법의 특수 과제를 선정하여 심층적으로 연구한다.
CJL1324 일본어문법특수연구Ⅱ 일본어 문법의 특수 과제를 선정하여 심층적으로 연구한다.
CJL1339 일본어문법사Ⅰ 일본어 문법의 사적 변천에 대하여 고찰하고 연구 방법을 익힌다.
CJL1340 일본어문법사Ⅱ 일본어 문법의 사적 변천에 대하여 보다 심도 있게 고찰하고 그 연구 방법을 익힌다.
CJL2300 빅데이터기반일본어학연구방법론Ⅰ 빅데이터 시대에 발맞춰 최신 IT기술을 활용한 데이터 마이닝과 데이터 가공 등을 통해 새로운 일본어학 연구방법론의 기초를 모색한다.
CJL2301 빅데이터기반일본어학연구방법론Ⅱ 빅데이터 시대에 발맞춰 최신 IT기술을 활용한 심화된 일본어학 연구방법론의 습득을 목표로 한다.
CJL2304 아시아제반언어와일본어Ⅰ 아시아권 제언어와 일본어의 언어학적 특징을 비교대조분석함을 목표로 한다.
CJL2305 아시아제반언어와일본어Ⅱ 아시아권 제언어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얻은 지견을 일본어학 연구에 적용시켜 일국 중심의 언어연구에서 탈피함을 목표로 한다.
CJL2306 일본어학개론Ⅰ 일본어의 음성, 음운, 문자, 어휘, 문법, 담화 등에 대하여 제반 문제를 개관, 파악한다.
CJL2307 일본어학개론Ⅱ 일본어학의 제반 문제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대립하고 있는 제반의 문제점을 파악함을 목표로 한다.
CJL2308 일본어사Ⅰ 일본어의 역사적인 변천과정을 음운·문법·어휘 등의 여러 각도에서 개관한다.
CJL2309 일본어사Ⅱ 일본어의 발달 과정을 개관하고 각종 이설의 본질 및 해결책을 선별적으로 연구, 검토함을 목표로 한다.
CJL2310 빅데이터기반일본어학자료연구Ⅰ 빅데이터에 기반하여 일본어학 연구자료로 분석한 연구를 파악하고 연구방법을 체득한다.
CJL2311 빅데이터기반일본어학자료연구Ⅱ 빅데이터에 기반하여 일본어학 연구자료에 대해 어학적 분석연구의 능력을 키움을 목표로 한다.
CJL2312 일본어학연습Ⅰ 일본어학에 관한 연구주제에 대해 분석방법과 과제를 탐구한다.
CJL2313 일본어학연습Ⅱ 일본어학에 관한 특수 과제를 주제로 하여 현 단계에서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해결책을 모색함을 목표로 한다.
CJL2314 일본어교수법Ⅰ 일본어 교수법에 관한 연구방법과 과제를 파악한다.
CJL2315 일본어교수법Ⅱ 일본어 교수법에 관한 제 문제에 대해 탐구하고 연구방향을 모색한다.
CJL2318 일본어습득연구방법론Ⅰ 일본어 제2언어습득 이론을 파악하고 연구방법론을 파악한다.
CJL2319 일본어습득연구방법론Ⅱ 일본어 제2언어습득 이론을 기반으로 일본어학습자의 언어실태를 파악하고 고찰한다.
CJL2320 일본어교육과코퍼스언어학Ⅰ 일본어교육학 관점에서 일본어의 데이터 수집과 분석 방법, 결과를 파악한다.
CJL2321 일본어교육과코퍼스언어학Ⅱ 일본어교육학 관점에서 코퍼스 언어학 이론을 적용하고 고찰한다.
CJL2322 동아시아와일본어사회언어학적연구Ⅰ 사회언어학적 관점에서 일본어와 동아시아 언어를 비교 고찰한다.
CJL2323 동아시아와일본어사회언어학적연구Ⅱ 현대 일본어의 운용 및 위상 문제를 사회언어학적으로 고찰한다.
CJL2804 빅데이터기반교재개발과어학평가 참신한 어학교재 제작을 경험하는 한편,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요구하는 외국어구사의 기준 재정립을 평가할 혁신적인 방안을 모색한다.
CJL2805 동아시아제언어와일본어의기원탐구 동아시아 제언어와 비교를 통하여 일본어 기원을 탐구하는 방법을 실습한다.
CJL2807 일본어학·교육창의과제 일본어학, 교육에 관련된 콘텐츠를 기획하여 작품을 제작하는 실무형 프로그램으로 진행한다.

 

 

일본문학·문화전공

일본문학·문화전공 학수번호 과목명 교수요목
학수번호 과목명 교수요목
CJL1501 일본문예장르론Ⅰ 일본의 각 문예장르들의 성립과 전개양상을 파악한다.
CJL1502 일본문예장르론Ⅱ 각 문예장르를 구성하는 대표적인 작품들의 분석을 통해서 일본의 각 문예장르들의 체계를 탐구한다.
CJL2600 일본고전문학사Ⅰ 일본 고전문학의 흐름을 개관하여 그 특징을 파악한다.
CJL2601 일본고전문학사Ⅱ 일본고전문학을 통시적으로 고찰하여 그 변화 양상을 대표작품과 시대의 특징과 관련시켜 파악한다.
CJL2602 일본고대산문연구 일본 고대 산문장르의 전개 양상과 특징을 파악한다.
CJL2603 일본중세산문연구 일본 중세 산문장르의 전개 양상과 특징을 파악한다.
CJL2604 일본근세산문연구 일본 근세 산문장르의 전개 양상과 특징을 파악한다.
CJL2605 일본고대시가연구 일본 고대 시가장르의 전개 양상과 특징을 파악한다.
CJL2606 일본중세시가연구 일본 중세 시가장르의 전개 양상과 특징을 파악한다.
CJL2607 일본근세시가연구 일본 근세 시가장르의 전개 양상과 특징을 파악한다.
CJL2608 일본중세극문학연구 일본 중세 극문학 장르의 전개 양상과 특징을 파악한다.
CJL2609 일본근세극문학연구 일본 근세 극문학 장르의 전개 양상과 특징을 파악한다.
CJL2610 일본고전문학세미나Ⅰ 일본 고전문학의 기본적인 특징을 고찰하고 다양한 관점에서 검토, 토론한다.
CJL2611 일본고전문학세미나Ⅱ 일본고전문학에 대한 문학이론, 다양한 논점을 분석하여 토론하는 과정을 통해 고전문학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킨다.
CJL2612 일본고전문학강독Ⅰ 일본 고전문학작품을 선독, 감상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CJL2613 일본고전문학강독Ⅱ 일본의 고전문학작품을 독해하여 작품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능력을 연마한다.
CJL2614 일본고전문학연습Ⅰ 일본 고전 산문문학에서 주제를 선정하여 관련 작품을 연구, 검토한다.
CJL2615 일본고전문학연습Ⅱ 일본 고전 운문문학에서 특정한 주제를 선정하여 관련 작품을 연구, 검토한다.
CJL2616 일본대중문학·문화와동아시아Ⅰ 동아시아 주요 국가에 있어서 일본 대중문학의 수용 양상을 고찰한다.
CJL2617 일본대중문학·문화와동아시아Ⅱ 동아시아 주요 국가에 있어서 일본 대중문화의 수용 양상을 고찰한다.
CJL2618 일본문화와동남아시아Ⅰ 일본문학 분야에서 동남아시아를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를 종합적으로 고찰한다.
CJL2619 일본문화와동남아시아Ⅱ 일본문학과 인문학 분야에서 동남아시아를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를 종합적으로 고찰한다.
CJL2620 한일비교문학연구Ⅰ 일본문학과 한국문학의 장르, 사상, 문학전통 등의 형식과 이론을 비교 연구한다.
CJL2621 한일비교문학연구Ⅱ 구체적 테마를 통해 일본문학과 한국문학을 비교 고찰한다.
CJL2622 일본문학과아시아Ⅰ 일본고전문학과 동아시아 지역과의 유기적 관계를 고찰한다.
CJL2623 일본문학과아시아Ⅱ 일본근현대문학과 동아시아 지역과의 유기적 관계를 고찰한다.
CJL2624 일본문학과여행콘텐츠 일본문학 작품에 나타난 여행을 지역사회, 인적교류, 문화공동체와 관련시켜 고찰한다.
CJL2625 일본고전문학·문화와동아시아 일본 고전문학, 문화를 동아시아 공동체와 연관시켜 그 특징을 고찰한다.
CJL2626 일본근현대문학사연구Ⅰ 일본근대문학의 흐름을 개관하여 그 특징을 파악한다.
CJL2627 일본근현대문학사연구Ⅱ 일본현대문학의 흐름을 개관하여 그 특징을 파악한다.
CJL2628 일본근현대문학연구방법론Ⅰ 일본근대문학의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특정 주제에 대한 연구방법론을 익힌다.
CJL2630 일본근현대문학세미나Ⅰ 일본근대문학에 있어서 연구상의 논쟁이 된 분야를 선정하여 각 학설을 소개하면서 비교고찰한다.
CJL2631 일본근현대문학세미나Ⅱ 일본현대문학에 있어서 연구상의 논쟁이 된 분야를 선정하여 각 학설을 소개하면서 비교고찰한다.
CJL2634 일본문예장르론Ⅲ 일본의 각 문예장르가 일본사회와 문화와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를 탐구한다.
CJL2635 일본근현대문학연구Ⅰ 이 교과목은 일본 근대문학의 이해와 일본 역사, 사회, 문화 등을 고찰한다.
CJL2636 일본근현대문학연구Ⅱ 이 교과목은 일본 근대문학의 이해와 대표적 근대 작가와 작품 등을 고찰한다.
CJL2637 일본근현대문학연습Ⅰ 일본근대문학 작품을 선정하여 문학사, 사상사. 사회사 등 그 문학이 생성된 요건과 관련시켜 연구한다.
CJL2638 일본근현대문학연습Ⅱ 일본현대문학 작품을 선정하여 문학사, 사상사. 사회사 등 그 문학이 생성된 요건과 관련시켜 연구한다.
CJL2639 일본근현대문학특수과제연구Ⅰ 일본근대문학의 특수과제에 관한 심층연구를 한다.
CJL2640 일본근현대문학특수과제연구Ⅱ 일본현대문학의 특수과제에 관한 심층연구를 한다.
CJL2641 일본근현대문학과미디어연구Ⅰ 미디어를 중심으로 일본근대문학의 특성을 고찰한다.
CJL2642 일본근현대문학과미디어연구Ⅱ 미디어를 중심으로 일본현대문학의 특성을 고찰한다.
CJL2643 일본문예이론특강 일본의 제문예이론과 일본문예의 특성을 파악한다.
CJL2644 4차산업혁명과일본근현대문학 일본문학을 통해 4차 산업혁명과 미래사회, 인간의 본질, 윤리 등을 고찰한다.
CJL2645 고령화사회와일본문학 일본문학을 통해 고령화사회의 다양한 양상과 문제점을 고찰한다.
CJL2812 일본문학·문화문제탐구 일본문학 및 문화를 활용한 실무형 프로그램으로 진행한다.
CJL2813 일본문학번역문제탐구 일본의 다양한 문학작품을 선정하고 번역, 간행함으로써 일본문학의 번역가와 출판편집인을 양성한다.
CJL2814 일본문학·문화창의과제 일본문학, 문화에 관련된 콘텐츠를 기획하여 작품을 제작하는 실무형 프로그램으로 진행한다.
CJL929 일본고전문학연구방법론Ⅰ 일본 고전문학 관련 연구 자료를 정리하는 방법과 작품을 분석하는 방법을 익힌다.

 

 

중일지역 · 비교문화 전공

중일지역 · 비교문화 전공 학수번호 과목명 교수요목
학수번호 과목명 교수요목
CJL1101 중일비교문화연구Ⅰ 중국과 일본의 문화를 분야별로 살피며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보는 가운데 우리 문화와 관련성이 높은 주제에도 주목한다. 본과목은 해당 주제의 제1차 강좌이다.
CJL1107 중일언어와문화Ⅰ 중국과 일본의 언어와 문화 전반에 관해 제기될 수 있는 여러 주제들을 다양하게 설정하여 그에 관한 고찰과 분석을 통해 동아시아 언어와 문화에 대한 이해를 심화한다.
CJL1108 중일언어와문화Ⅰ 중국과 일본의 언어와 문화 전반에 관해 제기될 수 있는 여러 주제들을 다양하게 설정하여 그에 관한 고찰과 분석을 통해 동아시아 언어와 문화에 대한 이해를 심화한다.
CJL1137 동아시아문화와사상연구Ⅰ 동아시아 각국의 다양한 문화적 특질을 그 사상적 배경과 접목시켜 비교 검토함으로서 동아시아 각국 의 문화와 사상에 관한 이해를 심화시킨다.
CJL1138 동아시아문화와사상연구Ⅱ 동아시아 각국의 다양한 문화적 특질을 그 사상적 배경과 접목시켜 비교 검토함으로서 동아시아 각국 의 문화와 사상에 관한 이해를 심화시킨다.
CJL2100 중일지역연구Ⅰ 현대 중국과 일본의 국내 정세를 개괄적으로 조망하고 주요 현안에 대해 비교 분석한다.
CJL2101 중일지역연구Ⅱ 현대 중국과 일본의 양자관계를 개괄적으로 조망하고 주요 현안에 대해 비교 분석한다.
CJL2102 일본지역연구론Ⅰ 전후 일본정치의 주요 현안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 핵심 쟁점에 대해 검토·고찰한다.
CJL2103 일본지역연구론Ⅱ 전후 일본의 대외관계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고 핵심 쟁점에 대해 검토·고찰한다.
CJL2104 트랜스-동아시아거버넌스바로미터Ⅰ 제반 분야에서 어떠한 동아시아 지역 거버넌스가 형성되고 있는지 구체적인 사례를 들면서 규명한다.
CJL2105 트랜스-동아시아거버넌스바로미터Ⅱ 동아시아 각국의 거버넌스 현황을 구체적인 사례를 들면서 비교·검토한다.
CJL2106 동아시아지정학과안전보장연구 지정학의 관점에서 동아시아 국제관계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핵심적인 쟁점에 대해 해결 방안을 모색한다.
CJL2107 동아시아지경학과경제통합연구 지경학의 관점에서 동아시아 국제사회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핵심적인 쟁점에 대해 해결 방안을 모색한다.
CJL2108 한중일관계와한반도 한중일 3자 관계의 전개 양상을 살펴보고 한국의 정책 대안을 모색해 본다.
CJL2110 데이터를활용한동아시아상호인식비교연구 주요 기관의 상호인식 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동아시아 각국의 상호인식을 살펴보고 그 개선 방안을 강구한다.
CJL2111 4차산업혁명시대의트랜스-동아시아 제4차 산업혁명이 동아시아를 어떠한 기능적 지역으로 변모시키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향후 전망을 모색한다.
CJL2121 중일비교문화연구Ⅱ 중국과 일본의 문화를 분야별로 살피며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보는 가운데 우리 문화와 관련성이 높은 주제에도 주목한다. 본과목은 해당 주제의 제2차 강좌이다.
CJL2140 회화자료로보는동아시아문화예술Ⅰ 회화자료를 통해 동아시아의 전반적인 문화, 예술의 양상을 고찰한다.
CJL2141 회화자료로보는동아시아문화예술Ⅱ 회화자료를 통해 동아시아의 문화, 예술의 특징을 시대상황과 관련시켜 심층적으로 고찰한다.
CJL2142 동아시아문화유산과예술 동아시아 문화유산과 예술작품을 살펴보고 그 형성과정과 그 특징을 고찰한다.
CJL2143 동아시아전통문화론 동아시아 전통문화를 대상으로 이들의 특성과 배경을 살펴본다.
CJL2144 지도데이터로보는일본문명연구 지도 데이터를 통해 일본 도시, 지역문화, 일본 문명이 형성된 배경과 과정을 고찰한다.
CJL2145 동아시아건축과공간연구 동아시아 건축과 공간을 고찰함으로써 문화의 편성과정을 살펴본다.
CJL2800 동아시아지역연구문제탐구 동아시아 정치, 외교, 경제, 사회 등의 주요 과제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개선·해결 방안을 제안한다.
CJL2801 동아시아문화창의과제 교육과 문화 현장에서의 문제 해결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동아시아 문화를 과제로 하여 기획에서 제작까지 학생들이 직접 수행하면서 창의적 종합설계 능력을 연마한다.
CJL2109 동북아시아-동남아시아연결성연구 동북아와 동남아시아/남아시아 사이의 외교적, 경제적, 문화적 연결성을 파악하고 동아시아 지역의 기능성을 규명한다. 
CJL2146 동아시아문화특강 동아시아 문화에 관한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문화연구의 특수성과 보편성을 분석한다.